코인을 사는 게 끝이 아니라고요? – 스테이킹, 예치, 파밍 등 활용법 소개
스테이킹 – 지분증명 기반 네트워크 참여스테이킹(Staking)은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동안 락업(lock-up)하여 네트워크의 보안과 운영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프로세스다. PoS는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과 달리 전력 소모가 적고, 참여자가 보유한 자산의 양에 따라 블록 검증 권한을 부여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대표적인 PoS 기반 블록체인으로는 이더리움 2.0, 솔라나(Solana), 폴카닷(Polkadot), 카르다노(Cardano) 등이 있으며, 이들 네트워크는 스테이킹을 통해 트랜잭션 검증과 블록 생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스테이킹은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진행된..
2025. 6. 30.
중앙화 거래소(CEX)의 개념과 구조
중앙화 거래소란 무엇인가?중앙화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 CEX)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구매, 판매, 교환할 수 있는 중앙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거래소는 운영 주체가 존재하며, 사용자의 자산을 대신 보관하고 관리하는 구조를 갖춘다. 대표적인 중앙화 거래소로는 바이낸스(Binance), 코인베이스(Coinbase), 업비트(Upbit), 크라켄(Kraken) 등이 있으며, 이들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의 교환, 다양한 암호화폐 간 스왑, 현물 거래, 선물 거래, 마진 거래 등 다채로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앙화 거래소의 운영 방식은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 예를 들어 주식 거래를 위한 증권사 계좌와 유사하다. 사용자는..
2025.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