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존2

중립이라는 환상 | AI를 썼을 뿐인데, 누군가는 땀을 흘린다. AI의 편리함, 누구의 대가인가지난 편에서 AI 창작과 저작권 문제를 고민했다면,이번엔 그 도구 자체에 질문을 던져본다.사람들은 AI를 '중립적인 도구'로 여긴다.칼이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라, 그걸 쥔 사람이 문제라는 논리처럼.하지만 AI는 결코 단순한 칼이 아니다.우리가 던지는 질문에 따라 형태를 바꾸고,누군가의 시간과 에너지, 심지어 저작물을 기반으로 작동한다.이 모든 과정은 막대한 전기 에너지를 소모한다.AI 학습에 사용되는 전략량은 상상을 초월하며,이는 기후 위기와 자원 고갈이라는 '현재 진행 중'인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게다가 전 세계의 수많은 콘텐츠, 이미지, 이야기들이 '허락 없이' 수집되었다.그 과정에서 창작자와 노동자들은 권리 없이 기여했고,지금도 누군가는 저임금으로 데이터를 선별하고 .. 2025. 6. 21.
누가 마크를 붙여야 하는가? 왜 우리는 AI 인증 마크가 아니라, 인간 인증 마크를 받아야 할까?AI에게 마크를 다는 구조가 훨씬 쉽고 효율적일 텐데.그럼에도 인간이 인증받는 쪽으로 설계되는 이유는, 결국 욕망과 감정이 스며든 인간의 선택이기 때문일 것이다.기술은 중립적이다.하지만 그 기술을 설계하고 도입하는 주체의 욕망은 중립적이지 않다.그래서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디자인한 권력의 방향성이다.지금 느끼는 이 불쾌함은,마치 인스타그램의 블루마크가 처음 등장했을 때와 비슷하다.그땐 모두가 반발했다.‘왜 유명인만 인증받아야 하지?’ ‘왜 나를 증명해야 하지?’하지만 시간이 흐르자,그 마크는 특권의 상징에서 프리미엄 기능으로,그리고 결국 "달지 않으면 뒤처지는 마크"가 되었다.우리는 그 불편함을 알면서도,.. 2025.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