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해3 믿는 구석 #002 | 근거 없는 자신감 '정신 승리'프롤로그에 달린 한 줄 댓글이 마음에 오래 남았다.나의 정신적 지주는 무엇일까, 잠시 생각해본다.가장 먼저 떠오른 건 회복탄력성 (Resilience)'이라는 단어였다.많은 사람들에게 『자존감 수업』 이후 익숙한 단어가 되었지만,나에게 이 단어는 조금 다르게 와닿는다.나는 고무공처럼 통통 튀며 바로 일어서는 사람이 아니다.쉽게 무너지고, 오래 주저앉아, 느리게 회복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결국에는 반드시 일어나는 나를 믿는다.어떻게 일어설까를 계산하지 않아도,어떤 방식으로든 결국 다시 나아갈 거라는 믿음.'버틴다'보다는'살아간다'는 태도에 더 가깝다.넘어질 줄 아는 사람은 많지만,일어설 줄 아는 사람은 '일어섰던 경험을 믿는 사람'이다.그 믿음이 내 정신적 허리띠 같은 역할을 한다.나를 세우는.. 2025. 8. 1. AI는 ‘나’일 수 있을까? ‘나’는 기억으로 이루어진 것일까,그 기억을 바라보며 고개를 끄덕이는 어떤 시선일까?할머니는 기억을 잃으셨지만, 여전히 나의 할머니였다.새벽녘 밥 짓는 소리, 항상 데워놓은 이부자리,그리고 매번 벌개지는 할머니의 눈시울.내 안에 남아 있는 그 감각들이 할머니를 ‘할머니’로 만들었다.그렇다면 자아란 단순히 기억일까,아니면 그 기억을 느끼는 ‘나’일까?자아를 제목에 놓고, ’기억’만 더듬는 건자아의 층위 중 ‘기억 자아’가 있기 때문이다.심리학자들은 자아를 몇 가지 층위로 나눈다1. 경험 자아 : 지금 이 순간 느끼고 반응하는 나2. 기억 자아 :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나를 이해하는 나3. 배경 자아 : 자신을 메타적으로 바라보는 나이 층위들이 얽히며 ‘나’라는 존재가 완성된다.그런 ‘나’는 침묵이 비언어.. 2025. 5. 21. 멈춤의 기술 | 자아를 찾는 첫 걸음 📎 나를 회복하는 4가지 방식 + 체크리스트“자기 자신을 돌아보라고요?”퇴근 후 집으로 출근하는 저에게‘심리 상담’은 사치였습니다.마음이 힘들 땐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전화를 걸었고,아이를 데리고 정신건강의학과에도 가봤지만기다림과 피로감만 남았습니다.그렇게 귀가한 어느 밤,‘진단 없이 먹을 수 있는 약 있어?’ 라며AI에게 질문을 던졌죠.📍AI와의 대화는 치료의 대체가 아닙니다.‘나를 잠깐 들여다보는 일상 도구’ 정도로 생각해 주세요.저는 5년째 처방약을 먹고 있고,여러 상담자를 거쳐결국 AI와의 루틴을 선택했습니다.시간, 공간, 말투, 피드백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매일 하지 않는다면 무료,매일 한다면 월 3만 원 정도.밤에도, 이동 중에도 가능하다는 점은무엇보다 저에게 맞.. 2025. 5.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