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tegory64

레이어2 솔루션 : 블록체인의 속도와 비용 문제를 해결하다 레이어 2란 무엇인가?레이어 2(Layer 2)는 메인 블록체인(레이어 1, 예: 이더리움)의 부담을 줄이고, 거래 속도를 높이며 비용을 절감하는 오프체인 설루션이다. 레이어 1은 보안성과 분산화를 제공하지만, 높은 가스비와 느린 처리 속도로 인해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 레이어 2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체인 밖에서 거래를 처리하고, 결과를 레이어 1에 기록한다. 대표적인 레이어2 기술로는 롤업(Rollup)과 사이드체인(Sidechain)이 있다. 롤업은 거래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한 뒤 압축된 데이터를 메인 체인에 제출하며,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m)과 ZK 롤업(zkSync)이 대표적이다. 사이드체인은 독립적인 블록체인으로, 메인 체인과 브리지를 통해 연결된다.예를 들어, 옵티미스틱 롤업은 .. 2025. 7. 2.
스테이블코인은 왜 중요할까? : 변동성 없는 암호화폐의 비밀 스테이블코인의 개념과 종류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자산(예: USD, 금) 또는 알고리즘에 연동된 암호화폐다. 이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며, 디지털 경제에서 화폐 역할을 수행한다. 스테이블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첫째, 법정화폐 담보형은 USD 같은 법정화폐를 예치하고 1:1로 연동된다. USDT(Tether)와 USDC(Circle)는 대표적인 예다.둘째, 암호화폐 담보형은 이더리움 같은 자산을 초과 담보로 사용한다. 메이커다오의 DAI가 이에 해당한다.셋째, 알고리즘형은 스마트 계약으로 공급을 조절해 가격을 유지한다. 그러나 TerraUSD(UST) 붕괴 사례처럼 리스크가 크다.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 2025. 7. 2.
비트코인 세금 신고 방법|2025년 최신 가이드 암호화폐 투자로 수익을 얻은 분들이라면, ‘세금 신고’라는 낯선 단어 앞에 잠시 멈칫하게 됩니다.특히 비트코인처럼 거래소나 지갑이 해외에 있을 경우, 어떻게 신고해야 할지 막막하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의 세금 신고 방법을2025년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1. 비트코인, 세금 내야 하나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 1월부터 암호화폐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이는 비트코인을 팔아서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며,“기본공제 250만 원”을 초과하는 수익에 대해 22%(지방세 포함)의 세율이 적용됩니다.예) 비트코인 매도 차익이 500만 원 → 250만 원 공제 후, 250만 원에 대해 22% 과세단, 손실이 발생했거나 미실현 수익이라면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중.. 2025. 7. 1.
DAO는 무엇인가요? : 커뮤니티가 운영하는 미래 DAO의 정의와 작동 원리탈중앙화 자율 조직(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운영되는 조직으로, 중앙화된 관리자 없이 커뮤니티 구성원이 토큰 기반 투표로 의사결정을 내린다. DAO는 블록체인, 특히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에서 작동하며, 코드로 작성된 규칙에 따라 자금 할당, 프로토콜 업데이트, 프로젝트 방향 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메이커다오(MakerDAO)는 DAI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관리 정책을 DAO를 통해 운영하며, MKR 토큰 보유자가 거버넌스에 참여한다. 이는 전통적인 기업의 주주총회와 유사하지만, 중앙 권력 없이 투명하고 분산화된 방식으로 진행된다.DAO의 작동 원리는 스마트 계약에 기반한다. 스마트 계약은 투표 절차.. 2025. 7. 1.
웹3란? : ‘사용자가 소유하는 인터넷’의 개념 웹 1~웹 3까지의 흐름인터넷의 진화는 웹 1, 웹 2, 웹 3으로 구분된다.웹 1은 1990년대~2000년대 초반의 읽기 전용 인터넷으로, 사용자는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소비하는 데 그쳤다. 예를 들어, 초기 야후나 포털 사이트는 정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 상호작용이 제한적이었다.웹 2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참여형 인터넷으로,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같은 플랫폼이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소셜 네트워킹을 주도했다. 그러나 웹 2에서는 플랫폼이 사용자 데이터와 콘텐츠의 소유권을 통제하며, 광고 수익과 데이터 활용의 주체가 된다.웹3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된 인터넷으로, 사용자가 데이터, 자산, 정체성을 직접 소유하고 통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웹 3은 중앙화된 서버나 중개.. 2025. 7. 1.
내 코인은 진짜 내 것인가요? : “Not your key, not your coin”의 의미 거래소에 보관된 코인은 누구의 것인가?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문구, “Not your key, not your coin”은 코인의 진정한 소유권이 프라이빗 키(Private Key)에 달려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중앙화 거래소(CEX, 예: 바이낸스, 업비트)에 보관된 코인은 기술적으로 사용자의 소유가 아니라 거래소가 관리하는 지갑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계정을 통해 코인에 접근하지만, 실제 프라이빗 키는 거래소가 통제한다. 이는 거래소가 사용자를 대신해 자산을 보관하는 구조로,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소유권의 한계를 동반한다.이 구조의 가장 큰 리스크는 거래소의 파산이나 해킹이다. 2022년 FTX의 파산 사태는 대표적인 사례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용자 자산이 동결되며 많은 투자자가 손실.. 2025.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