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망간 클래식48

AI와 인간의 미래 , "질문이 춤추는 시대를 건너며" AI는 이제 단순한 도구를 넘어, 우리와 함께 세상을 탐험하는 동반자가 되고 있다.인간이 남긴 방대한 흔적을 학습하며 문장을 짓고, 그림을 그리고, 노래를 만들었다.그런데, 알고 보면 이 모든 건 간접 경험—흔적 베끼기였다.그래서일까, 가끔은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라는 귀여운 실수를 저지른다.없는 사실을 창조하고, 뜻밖의 상상을 펼친다.이제 AI는 '몸'까지 얻고 있다.임베디드 AI, 센서, 운동체계를 갖춘 휴머노이드의 시대.이들은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경험을 쌓는다.느끼고, 움직이고, 때로는 넘어지기도 하면서.이 변화는 단순한 기술 뉴스거리가 아니다.우리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인간은 무엇으로 존재하는가?"#노동의 종말, 존재의 재발견우리한테 남는 건 쓸모가 아니라, 의미.. 2025. 4. 29.
서울국제도서전 2025 : 믿을 구석 🗓 2025 서울국제도서전은 6월 18일부터 2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다.올해주제는 '믿을 구석 (The Last Resort)'.각자의 '믿을 구석'을 찾아 떠나는 여정에 앞서, 선정된 40권의 책 중 몇 권을 미리 살펴보려 한다.도서전이 가까워지면서, 올해는 어떤 책들이 눈에 띌까 설레는 마음이 앞선다.아직은 전시도, 부스도 열리기 전이지만,먼저 발표된 ‘선정도서 40’ 목록은 마치 미리 받은 보물지도처럼 기대를 부풀린다.그중 몇 권, 나의 눈에 띈 책들을 먼저 펼쳐본다.아직 읽진 않았지만, 이미 재미있다. (이게 가능한 게 책 덕후의 특권이랄까.) ☑️ 엄청난 소똥구리, 박현민 글그림 -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부문 선정박현민 작가의 그래픽 감각은 이번에도 실망시키지 않는다.절제된 색감과 .. 2025. 4. 25.
소외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회복 “삶에서 어떤 기억은 말할 가치조차 잃는다” 20대의 나를 가장 오래 따라다니던 질문이 있었다.“정말, 내가 문제는 아닐까?”‘소외’라는 감정은 늘 나에게로 돌아왔다.그리고 그 질문을 안겨주었던 한 지인을,아주 오랜만에 다시 만났다.예전 같았으면 그의 안부조차 고통이었겠지만,지금의 나는 그와 마주앉아 차를 마실 수 있었다.나는 묻지 않았다.‘말하지 않음’은 무관심이 아니라, 나의 선택이었다.그렇다고 내가 그를 완전히 용서한 것도,그 일을 잊은 것도 아니다.그 ‘사건’에게는 다시 내 삶에 들어올 기회를주고 싶지 않았다.삶에서 어떤 기억은, 말할 가치조차 잃는다.지금 돌아보면, 그때의 감정은어쩌면 ‘해석’의 결과였을지도 모른다.내가 나를 중심에 둘 수 없었던 시기,그 중심이 흔들릴 때바깥의 모든 것도 무너지.. 2025. 4. 24.
굿바이 대신 'see you' "10년 가까이 갈망하던 드로잉, 이제야 시간이 생겼는데 재미가 없어졌다." 육아 4년 차.회사도 무사히 정리했고, 아이도 어린이집에 잘 적응했다.드디어, 나만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완벽한 시간이 생겼다.몇 가지 주제를 정하고, 레퍼런스를 모아 드로잉을 시작했다.딱 3일쯤 지났을까.아주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재미가 없었다.너무 당황스러웠다.나는 늘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고 믿어왔으니까.이 시간이 오기만을 얼마나 기다렸는데.곰곰이 이유를 생각해 봤다.내가 디자이너로서 즐겁게 일했던 순간들을 떠올려보니,그건 ‘창작’이라기보다는 제한 속에서의 기획과 도출이었다.정해진 글자 수, 필수 소재, 금지된 워딩들.그 틀 안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방향을 찾아야 했다.놀랍게도, 그게 훨씬 더 창의적인 일이었.. 2025. 4. 24.
[그림책] 나의 자개장은 복숭아 씨 | 자개장 할머니, 안효림 소년은 이사를 간다.자개장만큼은 버리지 않는 어른들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어느 날, 장롱 속에서 할머니가 나타난다.소년의 꿈을 이뤄주겠다며 길을 나서는알록달록 이상한 자개장 할머니...“사랑이 담긴 것들은 함부로 버리는 게 아니란다.”그 문장을 천천히 되새기다가,문득 ‘복숭아’의 등장이 궁금해졌다.왜 하필 복숭아를 찾아 헤매어씨앗을 버리지 않고 건넸을까.✓ 복숭아는 동아시아 전통문화에서 불로장생, 복, 평안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그래서 그토록 열 달 내내 복숭아를 찾았던 걸까.출산한 그 해 여름, 시어머니께서는 복숭아 몇 박스에사과보다 더 많은 “미안해”와 “사랑해”를 보내주셨다. "엄마는 자개장을 골랐다." …"사랑을 안 버려서 우리는 하나도 안 망했다."자개장은 사랑이 켜켜이 쌓이고, 바래져,마침내 .. 2025. 4. 23.
도망자의 노트를 들어가며 “글쓰기란 인간이 마지막까지 갖고 있는 최후의 자유, 본능이라 생각한다.”김영하 작가님한때는 완벽한 루틴만이 ‘진짜 삶’이라 믿었습니다.자기계발서를 탐독하며,게으른 나를 채찍질하고, 갓생 흉내를 내며 나를 고갈시켰죠.지금은 도망치듯 멈춰 섭니다.그리고 명랑하게, 오늘의 나로 부단히 살아갑니다.이곳은 ‘도망자의 노트’입니다.멈춘 자리를 탓하지 않고,잊고 지냈던 유머와 느슨한 통찰로나를 돌보는 연습을 해보려 합니다.조금 우스꽝스러워도,완성하지 않아도 괜찮은 기록이 있다는 걸,그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해.이 노트는평안을 되찾고 싶은 모든 ‘전직 갓생 챌린저’에게 보냅니다. 2025.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