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간 클래식47 2화, 튤립 정물화 2025.08.16매일 글을 쓰자고 다짐해놓고첫 날은, 스케치만둘째 날은 육퇴 후 기절..결국 3일이 지나고서야 그림과 함께 기록을 남긴다.입시미술을 하며 한 번도 배워보지 못한 ‘배경’특별히 어려운게 있을까, 싶었지만세상 어렵다.선생님의 추천으로 배경이 있는 정물화를 시작으로이제 집에서도 아크릴화 연습을 한다.주6일 9시간을 그리던 예전에 비하면속도는 더디겠지만그리는 과정조차 즐거워서인지조급하지 않다.얼른 완성작을 올리는 날이 오길! 2025. 8. 16. 1화, 아크릴화 입문기 2025.08.13따라 그리는 건 자신 있었다.오랜 시간 엉덩이를 붙이고,색과 형태를 똑같이 재현하는 건 어렵지 않았다.하지만 요즘은, 그만 따라 그리고 싶다.누구의 그림도 아닌 내 그림을 만들고 싶다.나만의 그림체를 찾고 싶은 욕구가 커졌다.그렇지만 새하얀 도화지를 마주하면 여전히 손이 굳는다.입시미술 이후, 그림은 내 삶에서 멀어져 있었었으니까.타인의 밑에서 일하는 디자이너를 그만두겠다고 마음먹었다.그리고 화실을 등록한 지 한 달.뜻밖에 '전시를 열어보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예전엔 졸업전시 준비로 화방을 뛰어다녔지만,지금은 클릭 몇 번이면 쿠팡으로 재료가 문 앞에 온다.그렇게 서른에, 아크릴화 입문자가 되었다.선생님 조언을 참고해 물감, 붓, 캔버스를 골랐다.앞으로 어떤 그림을, 어떻게 그릴지 기록.. 2025. 8. 13. 반가움, 아이와 다시 배우는 마음의 언어 “안녕하세요!”라는 말,우리는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진심으로 건네고 있을까?네 살배기 아이와 함께 살아가며,내가 당연하다고 여겼던 일상의 습관들이 하나둘 새롭게 다가온다.그중에서도 ‘인사’라는 단순한 행위가 내게 던진 질문은 예상치 못한 깊이로 나를 이끌었다.“안녕~ 해야지!” 내가 아이에게 웃으며 말하면,아이는 작은 몸을 꼬며 속삭인다. “부끄러워서 안 돼…”아빠나 선생님께는 수줍게 인사를 건네지만,낯선 이 앞에서는 눈길조차 피한다. 처음엔 그저 낯을 가리는 성격이겠거니 했다.“인사는 예의야”라고 부드럽게, 때론 단호하게 가르치며.그러다 우연히 오은영 박사의 한마디가 내 마음에 파문을 일으켰다.“인사를 가르치기 전에, 먼저 ‘반가움’을 느끼게 해 주세요.인사는 반가운 마음이 생기면 저절로 나오는.. 2025. 8. 9. 믿는 구석 #003 | 나를 둘러싼 공기, 향 믿는 구석 세 번째 시리즈에서는 나에게 빼놓을 수 없는 '향'이다.어떤 냄새는 순간을 붙잡아둔다.어떤 향은 기억보다 마음을 먼저 흔든다.그래서 너에게 '향'은 단순한 취향보단'타임라인' 같은 것이다.1. 관계 속의 냄새동생과 나는 이제 따로 살지만서로 마주칠 때면, 이상하게도 예전 '우리 집 냄새'가 난다.그리고 그 냄새는 곧장 어렸을 적 집으로 데려간다.아직 젊었던 부모님의 모습,둘러앉은 거실, 촌스러운 체리색 몰딩이 따라온다.남편은 연애 때부터 '디올의 Sauvage'를 즐겨 뿌렸다.그때는 너무 강하다며 '향수로 샤워했냐'는 핀잔을 줬지만,이젠 그 향이 곧 '그 사람'이 되었다.출산과 함께 우리의 향수는 잠깐 멈췄지만'Sauvage'향을 맡으면 연애 시절로 걸어 들어가는 기분이 든다.그리고 10년도 .. 2025. 8. 2. 믿는 구석 #002 | 근거 없는 자신감 '정신 승리'프롤로그에 달린 한 줄 댓글이 마음에 오래 남았다.나의 정신적 지주는 무엇일까, 잠시 생각해본다.가장 먼저 떠오른 건 회복탄력성 (Resilience)'이라는 단어였다.많은 사람들에게 『자존감 수업』 이후 익숙한 단어가 되었지만,나에게 이 단어는 조금 다르게 와닿는다.나는 고무공처럼 통통 튀며 바로 일어서는 사람이 아니다.쉽게 무너지고, 오래 주저앉아, 느리게 회복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결국에는 반드시 일어나는 나를 믿는다.어떻게 일어설까를 계산하지 않아도,어떤 방식으로든 결국 다시 나아갈 거라는 믿음.'버틴다'보다는'살아간다'는 태도에 더 가깝다.넘어질 줄 아는 사람은 많지만,일어설 줄 아는 사람은 '일어섰던 경험을 믿는 사람'이다.그 믿음이 내 정신적 허리띠 같은 역할을 한다.나를 세우는.. 2025. 8. 1. 믿는 구석 #001 | 가장 작고 사소한 것들 믿는 구석 첫 번째 이야기.나를 '다시 나답게' 만들어주는 순간들은생각보다 작고, 오묘하고, 예상 바깥에 있다.첫 번째 구석 : 쌓인 글블로그와 브런치에 쌓여가는 글들.남들이 안 읽어도 괜찮다.오늘 하루도 해냈다는, 괜찮다는 기록이니까.마무리했다는 것만으로도 나의 불안을 잠재우고글이 남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내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된다.두 번째 구석 : 밤의 허기이상하게도 밤의 배고픔은 슬프지 않다.허기진 배를 안고 누워 있는 시간엔 묘한 따뜻함이 있다.나를 가장 잘 안아주는 건 나일 때,그건 종종 '꼬르륵' 소리가 들려올 때다.세 번째 구석 : 정돈된 손톱네일아트를 하며 가장 먼저 드는 감정은 '정돈'이다.엉켜있던 마음이 다듬어지는 기분.손끝이 정리되면 하루가 괜찮아질 것 같은 기대.우연치 않게 보인 손.. 2025. 7. 28.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